[칼럼] 투싼 충돌 안전성 차별 논란…시장의 숙제는?

  • 기자명 김기태 PD
  • 입력 2016.06.30 12:49
  • 댓글 4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 IIHS의 조수석 부분의 스몰오버랩 테스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던 투싼. 평상시 같으면 투싼의 선전을 알릴 현대차도 이 내용에 대한 보도자료를 배포하지 않았다. 이는 한 국회의원의 법안 발의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발의에는 수출형 차의 안전성에 대한 내용을 내수 시장에 홍보하지 말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에 일부 제조사는 해외서의 시험 결과를 내수 시장의 홍보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방침을 세웠다고 한다.

그 와중에 내수와 수출차의 범퍼 내부의 구조가 다르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국가별 차별 논란을 불렀다. 오토뷰도 이 논란에 대해 기사를 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업계 측은 국내 보행자 관련 법규 준수에 의한 형상 차이라는 설명이다. 즉, 국내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한 것일 뿐 범퍼 빔 양쪽에 위치한 코너 익스텐션이 스몰오버랩 안전성을 크게 높이지는 못한다는 것. 반면 이 부분 역시 스몰오버랩 충돌 테스트에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이번 논란은 국가별 안전 기준에 대한 것에서 시작된다. 물론 정확한 안전성 차이는 제조사만이 알고 있다. 국토부가 아직 이 같은 테스트를 시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대차는 과거부터 내수차와 수출차가 동일하다는 의견을 어필했다. 하지만 일부 안전사양을 임의로 바꾼 일들이 알려지며 양치기 소년으로 전락했다.

이에 현대차는 이제는 달라졌다며 미국사양의 쏘나타와 내수 사양 쏘나타의 충돌 시험을 공개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다.

현재 현대차가 고민해야 할 것은 돌아선 민심을 어떻게 돌리느냐다. 특히 20~30대 젊은 소비자들이 현대차에 대한 불신을 키우며 수입차로 눈을 돌리고 있다. 그렇게 수입차를 접한 소비자들이 다시금 국산 브랜드로 눈을 돌리는 일은 흔치 않다.

각종 게시판에서 활동하는 현대차 지지자들도 현대차에게 큰 도움이 되지는 못한다. 다른 의견을 가진 네티즌들과 싸움을 반복하며 다시금 현대차에 대한 악감정을 키우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아군의 도움마저 손실이 되는 것. 현재의 현대차가 안고 있는 문제다.

이번 논란은 투싼의 안전성 검증이라는 호재조차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결국 현재 보다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자사가 달라졌음을 알리는 것만이 최선이다.

과거의 현대차는 부족함이 많았다. 그리고 국내 소비자들을 기만했던 일도 많았다. 단순한 안전사양외, 주요 부속의 내구와 관련된 부분서도 차별을 두곤 했다.

하지만 그런 차별을 두었음에도 세계적인 자동차들을 접하기 힘들었던 국내 소비자들의 선택에 의해 크게 성장했다. 하지만 시장은 변했다. 수입차의 대중화와 더불어 현대차도 크게 향상된 기술력을 확장해 가는 단계다.

최근 새롭게 개발된 현대차를 접해보면 세계적인 수준에 와있음을 쉽게 느끼게 한다. 특히나 달라진 차체 강성은 주행 감각마저 바꿔주는 요소다. 또한 이와 같은 강성 확보는 차체 내구를 시작으로 안전성은 물론 승차감에도 도움을 준다.

기업의 방향성은 구성원들에 의해 결정된다. 물론 현대차의 모든 직원들이 깨어있지는 않다. 아직도 임직원의 일부는 시대와 뒤쳐진 사고를 갖고 있다. 하지만 달라지고자 노력하는 사람들이 더 많기에 미래는 더 밝아질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고성능 N 브랜드 등 현대차의 새로운 도전을 응원하고 싶다.

이번 논란은 시사하는 바가 많다. 또한 이런 논란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서는 국토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 안전도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

미국 IIHS가 스몰오버랩 테스트를 시행하는 이유는 정면 충돌 만큼이나 중요성 안전성을 갖기 때문이다. 국토부도 임시적으로 몇 개 차종에 대해 스몰오버랩 충돌 테스트를 진행한 바 있다. 하지만 정식 테스트로 자리 잡지는 못한 상황이다.

또한 국내 소비자들은 국토부(KNCAP)의 시험 결과에 크게 주목하지 않는다. 그보다 미국 IIHS의 결과에 더 관심을 쏟는다. 보다 강화된 규정에 대해 신뢰한다는 것이다.

자동차는 각 국가별 요구 사항에 맞춰 구성된다. 4세대 에어백도 스몰오버랩 대응 강화도 시장의 요구에 따라 이뤄진다. 만약 자동차 브랜드의 홈페이지에 에어백 장착개수와 세대를 명확히 기록하라는 법규가 생긴다면 어떨까? 아마도 다수의 브랜드들이 에어백을 업그레이드 하려 할 것이다.

국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국토부가 보다 강화된 기준을 제시해 내수 소비자들이 믿고 구입할 수 있는 차들이 많아지길 희망한다. 물론 국토부가 뒷짐만 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현실적으로는 예산 부족을 원인으로 꼽는다. 이는 정부와 국토부 및 제조, 수입사들이 함께 풀어야 할 숙제다.

국가 기관이 나서 기준을 제시해 주지 않는다면 국내 제조사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만 지속될 것이다.

김기태 PD (kitaepd@autoview.co.kr)

저작권자 © 오토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